간단한 파이썬 문법
1. print()
-괄호 안의 데이터를 화면에 출력합니다.
-문자는 큰 따옴표" 또는 작은 따옴표' 로 묶어 준 후 입력합니다. (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구분하기도 합니다)
-숫자는 그대로 넣습니다.
2. 변수의 개념 이해하기
a = "Hello World"
b = 3
c = -11
수학에서와 다르게, b는 -3과 같다는 뜻이 아니라, -3이라는 데이터를 b라는 변수에 저장하는 것입니다.
변수 = 값(문자/숫자)
- 숫자를 저장하는 경우 : 그대로
- 문자를 저장하는 경우 : 큰 따옴표나 작은 따옴표로 묶어줍니다.
- 변수 이름은 자유롭게 설정 가능하나 숫자로 시작하거나 특수기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.
- 변수 이름에 공백을 사용할 수 없으므로 _를 대체해서 자주 사용합니다.
3. 주석
# 입력하는 내용은 주석으로 코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메모 용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단축키 : 윈도우 - ctrl + / 맥 - command + /
4. 숫자 연산 기호
+ 더하기
- 빼기
* 곱하기
/ 실수 나누기 ( 결과값은 소수로 출력됨 )
% 나머지
// 정수 나누기 - 몫 ( 결과값은 정수로 출력됨 )
** 문자의 연산도 가능합니다. 이때 + 와 * 만 가능합니다.
+를 사용하면 - 두 문자가 공백 없이 그대로 붙습니다.
*를 사용하면 - 문자와 정수의 곱셈만 가능하고, 문자가 정수번 반복됩니다.
5. 자료형의 이해
정수 - int
실수 - float
문자 - str
참/거짓 - bool ex. True, False
리스트 - list
딕셔너리 - dict
6. 자료형 바꾸기
변수 = type(변수) - 변수를 type이라는 자료형으로 변환한다.
a = int(a) : a를 int로 변환
이 때, 변환 가능한 데이터는 자료형은 다르지만 표현이 같은 데이터 여야 합니다.

7. 입력문 input() 이해하기
input을 이용하면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습니다.
name = input("이름을 입력해주세요:")
age = input("나이를 입력해주세요:")
print("이름은", name)
print("나이는", age)
input의 기능은 1. 안내문을 출력하고, 2. 데이터를 입력 받습니다.
이때 입력받은 데이터는 문자형태로 저장됩니다.
따라서 입력받은 14라는 숫자는 문자 1과 4가 저장된 꼴입니다. 이는 형변환을 활용하면 연산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.
문자열 이해하기
문자열은 파이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 형식 중 하나입니다. 일반적으로 텍스트라고 생각하는 데이터를 문자열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. 결국 텍스트 데이터는 문자들의 나열이기 때문에 문자열이라는 이름을 보편적으로 사용합니다.
문자열 데이터는 index와 value 두가지 값으로 저장됩니다.
1. 문자열 인덱싱(indexing)
string = "~~"
string[0]
앞글자부터 0 인덱스이고, 음수를 활용한 마이너스 인덱싱도 가능한데 가장 마지막 글자가 -1이 됩니다.
범위를 넘어서 인덱싱하면 에러가 뜹니다.
2. 문자열 슬라이싱(slicing)
string[0:2]
string[11:]
슬라이싱 기본형: 변수이름[index1:index2]
-이때 주의할 점은 첫번째 숫자는 포함하고 두번째 숫자는 포함하지 않는 범위의 데이터가 슬라이싱 된다는 것입니다.
string[11:] - 11- 마지막
string[:7] - 처음-6
string[:] - 전부
3. 유용한 문자열 관련 함수
- 문자열 바꾸기 : replace()
string1 = "브이넥 라이트 다운 베스트"
print(string1.replace("라이트", "헤비"))
print(string1)
실행결과 - 브이넥 헤비 다운 베스트 / 브이넥 라이트 다운 베스트
replace() 함수는 바꾸고자 하는 문자열 다음에 . 을 찍고 사용합니다. 파이썬에서 . 은 앞에 있는 변수와 관련된 기능을 사용하는 개념입니다.
이때 string1의 값 자체가 바뀌는 것은 아닌데, 아예 바꿔 업데이트 해주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명령해야 합니다.
string1 = string.replace("라이트", "헤비")
- 앞뒤 공백 제거하기 : strip()
string2 = " 25,990원 "
print(string2.strip())
print(string2)
string2 = string2.strip()
print(string2)
실행결과
25,990원
25,990원
25,990원
strip 함수의 경우 별도의 명령어, 입력어가 필요 없으므로 괄호 안을 비워놓습니다.
- 함수 체이닝(Chaining)
함수들을 이어서 쓸 수 있습니다.
# 앞 뒤 공백제거
string2 = string2.strip()
# , 삭제
string2 = string2.replace(",", "")
# 슬라이싱
string2 = string2[:-1]
# chaining
string2 = string.strip().replace(",", "")[:-1]
리스트(List) in Python
여러개의 변수를 만드는 것 보다, 리스트 안에 저장하면 간편한 경우가 있습니다. 데이터 여러개를 쉽게 관리하기 위해서 리스트라는 개념의 데이터 구조를 활용합니다. 대괄효 [] 안에 데이터들을 , 로 구분하여 저장합니다.
저장된 데이터는 문자열 인덱싱과 같은 방법으로 하나씩 가져올 수 있습니다.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대활호 안에 index를 넣는 방법으로 사용합니다. 문자열과 리스트는 거의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. (일부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문자열은 문자의 리스트로 구현되어 있습니다.)
- 리스트의 슬라이싱(slicing)
인덱싱과 마찬가지로 리스트에서도 슬라이싱 방법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문자열 슬라이싱의 결과가 문자열 이듯, 리스트 슬라이싱의 결과는 작은 리스트입니다.
- 리스트의 추가와 제거
리스트는 여러가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리스트에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리스트에 있는 데이터를 삭제도 가능합니다.
# 리스트에 추가
list.append("value123")
# 리스트에서 삭제
del list[1]
append() 함수를 사용하면 리스트에 괄호 안의 데이터를 맨 뒤에 추가 할 수 있습니다.
데이터 삭제는 del 명령어를 통해서 하고, 다른 함수들과 다르게 괄호 안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것이 아니라 공백 이후의 데이터를 삭제합니다.
- 문자열과 리스트의 길이 (Length)
len(list)
len(리스트) - 리스트의 길이를 반환, 포함하고 있는 데이터 수
len(문자열) - 텍스트 데이터의 글자 수
반복문
for i in range(1, 10):
print(i)
이때 문자열과 마찬가지로 범위를 설정 할 때 앞의 숫자는 포함하고 뒤에 있는 숫자는 포함하지 않습니다. 결국 총 9회 반복됩니다.
# 숫자를 하나만 입력하면, 0부터 10까지.
for i in range(10):
# 숫자를 세 개 입력하면, 증가시키는 범위를 의미.
for i in range(1, 10, 2):
리스트는 주로 반복문과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range() 없이 리스트를 직접 활용할 수 있는 반복문 사용법도 있습니다.
players = ["황의조", "황희찬", "구자철", "이재성", "기성용"]
print("2019년 아시안컵 출전명단:")
for p in players:
print(p)
위 코드에서는 임시 변수를 리스트의 앞글자 약자를 사용하고 in range()의 형태가 아니라 in 리스트의 형태를 사용했습니다. 반복되는 출력문이 player[i]가 아닌 임시변수 p를 출력하고 있습니다. in 리스트 형식은 리스트에 있는 값들을 하나씩 가져오면서 반복하게 됩니다.

'Computer Science > Jupyter notebook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파이썬 기본편 #2 List(시퀀스) (0) | 2024.09.22 |
|---|---|
| 파이썬 기본편 #1 (2) | 2024.09.22 |
| Pandas로 cvs 파일 편집하기 with Feature Engineering (0) | 2020.06.16 |
| 데이터 시각화(matplotlib, seaborn 입문) (0) | 2020.06.14 |
| Jupyter Notebook 입문하기 (0) | 2020.06.13 |